맨위로가기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의 국제 관계 연구를 제공하기 위해 1898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학부, 대학원, 중간 경력 교육을 제공하며, 2003년에는 새로운 학술 건물을 개관했다. 이 학교는 다양한 연구 센터와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국제 관계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과 교수진을 배출했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교육 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위키마니아
    위키마니아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연례 국제 컨퍼런스로,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 개발자, 연구자, 지지자들이 모여 위키 관련 주제를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위키미디어 운동의 발전과 커뮤니티 성장에 기여하고 한국 커뮤니티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
원어 이름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모토Building Leaders for the World (세계를 위한 리더 양성)
설립1898년
종류사립
소속조지 워싱턴 대학교
위치워싱턴 D.C.
캠퍼스도시 - 포기 바텀
제휴APSIA
웹사이트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 웹사이트
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 로고
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 로고
조직
학장앨리사 에이어스
학생
학부생2,200명
대학원생800명

2. 역사

엘리엇 스쿨은 미국 국무부, 미국 내무부, 미국 적십자사 본부, 미국 일반 서비스청 건너편, 백악관에서 몇 블록 떨어진 곳에 있다.


2019년 국제 용기 있는 여성 수상자들과 함께하는 엘리엇 스쿨 행사


엘리엇 스쿨은 여러 차례의 조직 개편과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기 바란다.

마이클 E. 브라운 박사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엘리엇 스쿨의 학장을 역임했다. 그 전에는 조지타운 대학교 평화 및 안보 연구 센터 소장과 하버드 대학교 벨퍼 과학 및 국제 관계 센터 부소장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엘리엇 스쿨 학장은 아프리카 연합 주재 전 미국 대사이자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인 루벤 E. 브리게티 II 대사였다.[8][9]

2. 1. 설립 배경

엘리엇 스쿨은 1898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가 비교법학 및 외교 학교에서 처음으로 국제 관계 연구를 제공했을 때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6][7]

1905년, 이 학교는 정치 및 외교학과로 대체되어 1907년까지 운영되었다.[6] 이후 다른 연구 분야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1907년부터 1913년까지 대학의 일부인 정치 과학 대학으로 재구성되었다. 이 시점에서, 이 대학은 컬럼비안 칼리지 내의 학과로 전환되었고 국제법 및 외교학과로 이름이 변경되어 1928년까지 유지되었다.

1928년, 대학교는 학과를 재구성하여 정부 학교를 설립하고 1960년까지 운영하였다. 1960년에는 비즈니스 및 국제 관계 분야가 추가되어 정부, 비즈니스 및 국제 관계 학교가 만들어져 1966년까지 운영되었다. 1966년, 로이드 하트만 엘리엇 총장은 학부를 새로운 정부 및 비즈니스 행정 학교(SGBA)와 새로운 공공 및 국제 관계 학교로 분리했다. 이후 1987년까지 국제 관계 학교로 운영되다가, 1988년 엘리엇 총장과 그의 부인 에블린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인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로 변경되었고, 국제 관계 분야의 학부, 대학원 및 중간 경력 교육에 전념하도록 재구성되었다.

2. 2. 발전 과정

엘리엇 스쿨은 1898년 조지 워싱턴 대학교가 비교법학 및 외교 학교에서 처음으로 국제 관계 연구를 제공했을 때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6][7]

1905년, 이 학교는 1905년부터 1907년까지 운영된 정치 및 외교학과로 대체되었다.[6] 이 학과는 다른 연구 분야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고, 1907년부터 1913년까지 운영된 대학의 일부인 정치 과학 대학으로 재구성되었다. 이 시점에서, 이 대학은 컬럼비안 칼리지 내의 학과로 전환되었고 국제법 및 외교학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엘리엇 스쿨의 이 시기 학과는 1913년부터 1928년까지였다.

1928년, 대학교는 다시 한 번 학과를 재구성했다. 이 해에 정부 학교가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1928년부터 1960년까지 대학교의 일부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 당시까지 가장 오랫동안 운영되었다. 1960년에는 비즈니스 및 국제 관계 분야가 정부 학교에 추가되어 1960년부터 1966년까지 운영되는 정부, 비즈니스 및 국제 관계 학교가 만들어졌다. 그런 다음 1966년, 로이드 하트만 엘리엇 총장은 학부를 새로운 정부 및 비즈니스 행정 학교(SGBA)와 새로운 공공 및 국제 관계 학교로 분리했다. 1966년부터 1987년까지 운영되면서, 다시 이름이 바뀌어 국제 관계 학교가 되었다. 그 후 1988년, 엘리엇 총장과 그의 부인 에블린을 기리기 위해 학교는 현재의 이름을 얻었고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가 되었다. 이 시점에서 국제 관계 분야의 학부, 대학원 및 중간 경력 교육에 전념하도록 재구성되었다.

2003년 3월, 엘리엇 스쿨은 1957 E 스트리트 NW에 새로운 학술 건물을 열었다. 건물은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이자 GW 동문인 콜린 파월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다. 이 건물은 공공 행사를 개최하는 데 사용되는 최첨단 강의실, 교실, 사무실, 라운지 및 공용 구역을 갖추고 있다. 건물은 작은 공원을 지나 해리 S. 트루먼 빌딩, 즉 미국 국무부 본부 대각선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미국 적십자사 본부 바로 동쪽에 있으며, 미국 인사 관리처 건너편에 있다.

마이클 E. 브라운 박사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엘리엇 스쿨의 학장으로 재직했으며, 그 전에는 조지타운 대학교 평화 및 안보 연구 센터 소장과 하버드 대학교 벨퍼 과학 및 국제 관계 센터 부소장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엘리엇 스쿨 학장은 아프리카 연합 주재 전 미국 대사이자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인 루벤 E. 브리게티 II 대사였다.[8][9]

2. 3. 주요 시설



2003년 3월, 엘리엇 스쿨은 1957 E 스트리트 NW에 새로운 학술 건물을 열었다. 이 건물은 당시 미국 국무부 장관이자 GW 동문인 콜린 파월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다. 이 건물은 공공 행사를 개최하는 데 사용되는 최첨단 강의실, 교실, 사무실, 라운지 및 공용 구역을 갖추고 있다. 건물은 작은 공원을 지나 해리 S. 트루먼 빌딩(미국 국무부 본부) 대각선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미국 적십자사 본부 바로 동쪽에 있으며, 미국 인사 관리처 건너편에 있다.

3. 학문 프로그램

엘리엇 스쿨은 학부 및 대학원 과정, 복수 학위 프로그램, 수료증 프로그램 등 다양한 학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학부생은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에서 재학하는 동안 해외 유학을 선택할 수 있다. 학부 프로그램은 조지 워싱턴 대학교 전체의 해외 유학 시스템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약 250개의 해외 유학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다.[12]

3. 1. 학부 과정

엘리엇 스쿨은 문학사 (B.A.) 또는 이학사 (B.S.) 학사 학위를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제공한다.[10]

학사 학위
국제 관계 학사
아시아학 학사
중동학 학사
라틴 아메리카 및 서반구 연구 학사



국제 관계 전공은 지역 및 기능별 집중 과정으로 세분화된다. 기능별 집중 과정에는 안보 정책, 국제 정치, 글로벌 공중 보건, 갈등 해결, 비교 정치, 경제 및 사회 시스템, 현대 문화 및 사회, 국제 개발 연구, 국제 경제, 국제 환경 자원이 포함된다. 지역별 집중 과정에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및 유라시아, 라틴 아메리카, 중동이 포함된다.

3. 2. 대학원 과정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문학 석사 학위를 제공한다. 연구 분야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기능 연구 학위지역 연구 학위



문학 석사 외에도 두 개의 특별 프로그램이 있다. 하나는 경력 중간 전문가를 위한 국제 정책 및 실무 석사(MIPP)이고, 다른 하나는 엘리엇 학교의 해외 학술 파트너 기관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에게 수여되는 국제학 석사(MIS)이다.

학교는 대학원생을 위해 독립적인 해외 유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적인 교육의 일환으로, 대학원생들이 외국에서 생활함으로써 연구에 국제적인 요소를 추가하도록 권장한다. 학교는 이러한 경험이 국제 관계 교육의 핵심 부분이라고 믿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새롭고 예상치 못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은 여러 학교와의 양자 간 파트너십으로 운영된다.[12]

3. 3. 복수 학위 프로그램

엘리엇 스쿨은 3개의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엘리엇 스쿨과 경영대학원은 문학 석사 및 경영학 석사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법학대학원과 협력하여 문학 석사 및 법무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세 번째 프로그램은 조지 워싱턴 대학교 공중 보건 및 보건 서비스 대학원과 협력하여 제공하는 문학 석사 및 공중 보건 석사 프로그램이다.[1]

  • 석사 학위
  • 조인트 디그리(M.A. 및 MBA)
  • 수료증

3. 4. 수료증


  • 글로벌 젠더 정책
  • 국제 과학 기술 정책
  • 핵 정책 연구[11]

4. 연구

국제 경제 정책 연구소(IIEP)는 세계 은행 그룹 및 국제 통화 기금과 같은 기관과 협력하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주요 연구 기관 중 하나이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여러 연구 기관을 운영하며,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연구 계획, 회의, 강의 등을 주도한다. 연구 센터와 연구소는 연구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와 함께 학술 및 연구 부서를 형성하며, 미국 국내 및 국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대중 및 정책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 경제 정책 연구소(IIEP) 외에도 협력 안보 글로벌 센터, GW 사이버 및 국토 안보 센터 등 다양한 기관들이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와 협력하고 있다.

4. 1. 주요 연구 기관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학문적 초점과 사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다양한 문제에 대한 많은 수의 연구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운영하며, 각 기관의 연구 계획, 회의, 강의, 토론 및 기타 활동을 주도한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10개의 연구 센터와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 및 주제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자들에게 제도적 틀을 제공하는 동시에, 25개 이상의 이니셔티브를 통해 교과 과정 간의 교수진 및 연구를 연결하여 중요한 글로벌 문제를 다루고 있다.

연구 센터와 연구소는 연구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와 함께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학술 및 연구 부서를 형성하며, 이는 미국 국내 및 국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대중 및 정책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 경제 정책 연구소(IIEP)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주요 연구 기관 중 하나이며,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길 건너편에 본사가 있는 세계 은행 그룹 및 국제 통화 기금과 자주 협력한다.[3]

겸임 교수 알리스테어 밀라(Alistair Millar)는 넷째 자유 포럼의 이니셔티브로 워싱턴 D.C.에서 협력 안보 글로벌 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GW 사이버 및 국토 안보 센터의 이사인 프랭크 실루포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와 자주 협력하는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주요 연구 기관
연구 센터 및 연구소이니셔티브


4. 2. 연구 및 정책 프로그램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학문적 초점과 사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다양한 문제에 대한 많은 수의 연구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운영하며, 각 기관의 연구 계획, 회의, 강의, 토론 및 기타 활동을 주도한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10개의 연구 센터와 연구소, 그리고 25개 이상의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 센터와 연구소는 지역 및 주제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자들에게 제도적 틀을 제공하며, 이니셔티브는 교과 과정 간의 교수진 및 연구를 연결하여 중요한 글로벌 문제를 다룬다.

연구 센터와 연구소는 연구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와 함께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학술 및 연구 부서를 형성하며, 미국 국내 및 국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문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대중 및 정책 커뮤니티와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 경제 정책 연구소(IIEP)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주요 연구 기관 중 하나이며,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길 건너편에 본사가 있는 세계 은행 그룹 및 국제 통화 기금과 자주 협력한다.[3]

겸임 교수 알리스테어 밀라(Alistair Millar)는 넷째 자유 포럼의 이니셔티브로 워싱턴 D.C.에서 협력 안보 글로벌 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GW 사이버 및 국토 안보 센터의 이사인 프랭크 실루포는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와 자주 협력하는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의 연구 센터, 연구소, 연구 이니셔티브는 다음과 같다.

연구 센터 및 연구소연구 이니셔티브


5.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는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을 배출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7]

저명한 동문들은 하위 섹션 "저명한 동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직 교수진으로는 아미타이 에치오니(전 미국 사회학회 회장), 토머스 E. 맥나마라(전 정치-군사 담당 국무부 차관), 마크 린치(새로운 미국 안보 센터 선임 연구원), 스콧 페이스(현 국가 우주 위원회 사무총장), 찰스 글레이저(방어적 현실주의 이론가), 데이비드 섐보(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 로렌스 윌커슨(전 미국 국무장관 콜린 파월의 비서실장), 마이클 N. 바넷(구성주의 이론가), 제임스 N. 로제나우(전 국제학회 회장), 마사 피네모어(구성주의 이론가), 해리 하딩(배튼 리더십 및 공공 정책 대학원 설립 학장), 에드워드 "스킵" 그넘 주니어(전 요르단, 쿠웨이트, 오스트레일리아 주재 미국 대사), 제임스 포스터(세계 은행 이사회 고문), 레온 퓨어스(미국 국가 안보 회의 멤버, 빌 클린턴 대통령 재임), 에릭 뉴섬(전 정치-군사 담당 국무부 차관), 스티븐 C. 스미스(현 국제 경제 정책 연구소 소장), 사비나 알키르(옥스퍼드 빈곤 및 인적 개발 연구소 소장), 존 로그스던(전 NASA 자문 위원회 위원), 네이선 J. 브라운(중동 민주주의 프로젝트 이사회 고문) 등이 있다.

전임 교수진으로는 모두드 아흐메드(전 방글라데시 총리), 윌리엄 루어스(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관장), 조셉 레바론(카타르모리타니 주재 미국 대사), 윌리엄 J. 크로우(전 합동 참모 본부 의장), 토머스 J. 도드 주니어(전 코스타리카 & 우루과이 주재 미국 대사), 크리스토퍼 A. 코짐(전 국가 정보 위원회 위원장), S. M. 크리슈나(전 인도 외무부 장관), 앤드루 A. 미흐타(전략 국제 문제 연구소 객원 연구원) 등이 있다.

5. 1. 저명한 동문

엘리엇 국제 관계 학교 졸업생들은 정치, 외교,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주요 동문은 다음과 같다:[17]

인물학위분야
콜린다 그라바르-키타로비치풀브라이트 장학생 2003년크로아티아 대통령
장대환1976년 석사대한민국 국무총리
마이클 푼케1986년 학사WTO 주재 미국 대사,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부사장
존 B. 헤이즈1964년 석사해군 제독, 제16대 해안 경비대 사령관
존 M. 샬리카슈빌리1970년 석사최고사령관 겸 미국 합동참모본부 의장
로즈 고트묄러1981년 석사NATO 사무차장
키어런 데베인2006년 MIPP영국 문화원 최고 경영자
로버트 P. 잭슨가나카메룬 주재 미국 대사
커트 볼커1987년 석사NATO 주재 미국 대사
데이비드 A. 내들러마쉬 앤 맥레넌 컴퍼니 부회장
K. T. 맥팔랜드1973년 학사국가 안보 부보좌관
샘 존슨1974년 석사텍사스 출신 미국 하원 의원
카시 헌트2006년 학사MSNBCNBC 뉴스 특파원
이레오나아메리칸 프라이즈 수상 오케스트라 지휘자
다이애나 B. 헨리케스1969년 학사퓰리처상 최종 후보자, 뉴욕 타임스 기자
태미 덕워스1996년 석사일리노이주 출신 미국 상원 의원
조셉 프루어1969년 석사주중 미국 대사


  • -]--

키어런 데베인, 2006년 MIPP, 영국 문화원 CEO.

5. 2. 저명한 교수진

전 인도 외무부 장관]]

제임스 포스터
세계 은행 이사회 멤버


앨리슨 맥팔레인
원자력 규제 위원회 위원장


로버트 O. 워크
제32대 미국 국방부 차관


마이클 오렌
주미 이스라엘 대사

6. 평가

Foreign Policy영어는 2018년에 엘리엇 스쿨을 "국제 관계를 공부하기 좋은 미국 학부 기관" 중 8위로 선정했다.[13]

Foreign Policy영어는 2018년 연례 보고서 Inside the Ivory Tower영어에서 엘리엇 스쿨의 국제 관계 석사를 세계 7위로 선정했다.[13]

2009년, 윌리엄 & 메리 대학교 연구원들의 연구에 따르면 엘리엇 스쿨은 국제 관계 분야에서 정책 관련 경력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세계 8위의 최종 석사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14]

Foreign Policy영어는 2018년 연례 보고서 Inside the Ivory Tower영어에서 엘리엇 스쿨의 박사 과정을 54개 학교 중 세계 17위로 선정했다.[13]

QS World University Rankings|QS 세계 대학 순위영어는 엘리엇 스쿨을 "정치 및 국제 관계" 부문에서 201개 학교 중 세계 27위로 선정했다.[15]

엘리엇 스쿨의 국제 관계 석사는 MastersStudies의 '2018년 미국 최고의 국제 관계 석사 프로그램'에서 미국 최고로 선정되었다.[16]

국제 관계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대학원 중 하나로 여겨지며, 2012년에는 미국 Foreign Policy영어지가 1,00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그 38%가 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 석사 과정을 우수한 프로그램으로 평가했다. 이 조사 결과, 2005년 랭킹 시작 이후 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은 하버드 대학교의 케네디 행정대학원, 프린스턴 대학교의 우드로우 윌슨 공공・국제 관계 대학원, 터프츠 대학교의 플레처 법률 외교 대학원 등에 이어, 국제 관계 대학원으로서 세계적인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2012년 Foreign Policy영어지 랭킹은 다음과 같다.[23]

순위대학 (대학원)비율(%)
1조지타운 대학교 (에드먼드 A. 월시 외교 대학원)69
2존스 홉킨스 대학교 (폴 H. 니체 고등 국제 관계 대학원)60
3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행정대학원)57
4프린스턴 대학교 (우드로우 윌슨 공공 정책・국제 관계 대학원)44
5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법률 외교 대학원)41
6컬럼비아 대학교 (국제 공공 정책 대학원)40
7조지 워싱턴 대학교 (엘리엇 국제 관계 대학원)38
8아메리칸 대학교 (국제 관계 대학원)20
9런던 정치경제대학교12
10시카고 대학교8


참조

[1] 간행물 Foreign Policy Association – Top 50 International Affairs Schools http://www.fpa.org/c[...]
[2]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www.foreigna[...]
[3] 뉴스 Elliott School Dean Plans to Step Back After a Decade at the Helm https://www.gwhatche[...] GW Hatchet
[4] 간행물 Elliott School Annual State of the School Report 2016–17 https://issuu.com/el[...]
[5] 웹사이트 GW Names New Dean for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gwtoday.gwu.[...] 2021-01-24
[6] 웹사이트 Mission https://elliott.gwu.[...]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2015-09-29
[7] 논문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sketch http://dx.doi.org/10[...] 2020-12-14
[8] 웹사이트 Ambassador Reuben E. Brigety II Named Elliott School Dean http://gwtoday.gwu.e[...]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5-09-29
[9] 웹사이트 Elliott School Interim Dean Announced https://gwtoday.gwu.[...] 2021-01-24
[10] 문서 http://www.gwu.edu/~[...]
[11] 웹사이트 Graduate Certificates https://elliott.gwu.[...]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2018-06-17
[12] 웹사이트 Undergraduate Study Abroad – The Elliott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www.gwu.edu/~[...] 2009-10-07
[13] 웹사이트 Foreign Policy – Top 50 International Affairs Schools https://foreignpolic[...]
[1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9-07-11
[15]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 Politics & International Affairs https://www.topunive[...]
[16] 웹사이트 Masterstudies.com – Best Masters Programs in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masterst[...]
[17] 문서 http://www.elliottsc[...]
[18]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 Sam Nunn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inta.gatech.[...] 2023-07-16
[19]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APSIA) Online Graduate School Fair https://careerservic[...] 2023-07-16
[20] 웹사이트 APSIA Member – Penn State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www.sia.psu.[...] 2023-07-16
[21] 웹사이트 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APSIA) https://ocs.yale.edu[...] 2023-07-16
[22] 문서 北米で見られる[[高度専門職業人]]養成校
[23] 웹사이트 Foreign Policy, Ranking 2012 http://www.foreign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